조선통신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0 00:39본문
Download : 조선통신사.ppt
조선 통신사, 그들은 누구인가.
日本(일본)을 받드는 외교사절,
日本(일본) 막부를 승인하기 위한 외교사절,
선진 文化(culture) 의 전도사,
그 진실은 무엇인가
김승민
‘조선 통신사’란 무엇인가
조선에서 日本(일본)의 막부장군에게 파견되었던 formula(공식)적인 외교사절이다.
통신사의 파견이 실제로 이루어진 것은 1429년(세종11) 교토에 파견된 정사 박서생의 사절단으로 최초의 통신사라고 할 수 있다
history적 의의 : 조 일 양국간만이 아니라, China을 포함하는 동아시아 삼국의 평화공존을 위한 국제관계에 많은 影響(영향)을 끼쳤다는 데 있다
조선 통신사 행렬 모습.
한번에 300~500명 정도의 많은 인원의 사절단이 파견되었다.
조선 통신사의 파견 절차.
日本(일본)에서 새 막부장군의 승습 결정-` ‘통신사청래차왜’를 조선에 파견-` 조선에서 사절단 편성-` 한양-부산은 육로로 감-` 부산-대마도-시모노세키-오사카의 요도우라는 해로 이용-` 육로로 교토 도착.
조선 전기;장군이 교토에 있었기 때문에 교토가 종점.
조선 후기;장군이 도쿄에 있었기 때문에 도쿄가 종점.
일행이 통과하는 객사에서는 文化(culture) 상의 교류가 성대. 방문하는 곳마다 서화 시문 등 많은 작품을 남김.
귀국 후 그들이 日本(일본)에서 겪은 일들을《해행총재》라는 견문록으로 엮음.
부산
한양
시모노세키
오사카
교토
도쿄
조선 통신사의 파견 목적.
[조선 전기]
조선 : 정치외교적인 목적. 日本(일본) : 경제文化(culture) 적인 목적.
[조선 후기] 임진왜란이 일어나, 통신사 파견의 일시중단-`日本(일본)의 요청으로 통신사 재개.
日本(일본) : 봉건제후인 다이묘 통제. 조선 : 정치외교적인 목적
임란 직후에는 ‘회답겸쇄환사’라는 칭호를 씀. (조선에서는 이 시기에 도쿠가와 막부를 통신국으로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
日本(일본) 국왕사의 조선파견은 금지됨. (日本(일본) 국왕사의 상경로가 임진왜란 당시 日本(일본)군의 침략로로 이용되어서)
1636년부터 동아시아 국제정세의 변동 때문에 다시 통신사라는 호칭 사용.
日本(일본)…(To be continued )
조선통신사,인문사회,레포트
조선통신사 , 조선통신사인문사회레포트 , 조선통신사
설명
Download : 조선통신사.ppt( 55 )
조선통신사






레포트/인문사회
조선통신사
순서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