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ump.kr 중세과학-철 > dumpxx1 | dump.kr report

중세과학-철 > dumpxx1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dumpxx1

중세과학-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3 13:15

본문




Download : 중세과학-철.hwp




New중세과학-철 , 중세과학-철경영경제레포트 ,
1.인간과 철의 만남
①수메르인 : 철은 안바(anbar)라고 불렀는데, 이는 하늘과 불을 상징
- 철은 천상계의 금속(운석은 순수한 철 덩어리)
- 그린란드 이누이트 에스키모가 쇠로 된 칼을 가지게 된 것도 이 운철을 통해서였다.






New중세과학-철
중세과학-철
,경영경제,레포트
순서


설명

중세과학-철_hwp_01.gif 중세과학-철_hwp_02.gif
다.
- 중국(China)의 은시대에 운철 사용 흔적
②지상계 철의 사용 증거
- 기원전 3천년 경, 이라크 지방에서 사용
- 기원전 1천 8백년 경, 바빌로니아 지방에서 철을 경제적으로 사용
(철은 은의 8배 이상의 가치)
③기원전 2천년 전부터 진보된 야금기술을 습득
2.히타이트의 철
①철기의 보편화와 히타이트
- 기원전 2천년부터 기원전 천3백년 사이에 철의 제련법을 독점적으로 보유
- 투탄카문 시대의 이집트의 철기도 히타이트에서 수입된 것으로 추정
②히타이트 제국의 멸망
- 아나톨리아 남부해안을 따라 밀려들어온 해양인들에 의해 멸망
- 이에 따라 철의 야금기술이 전세계로 급속히 퍼져 철의 보편화를 가져옴
3.히타이트 제국의 멸망 후 철기의 전파
①팔레스타인 해안, 페니키아인 기원전 10세기
- 이후 지중해 서부지역, 북아프리카, 카르타고에 전파
②아프리카로 간 철기
- 수단(기원전 2세기), 중앙아프리카(500년), 남아프리카(10세기)
③유럽으로 간 철기
- 그리스(기원전 9세기), 중부 유럽(기원전 8세기), 영국(기원전 500년)
④동쪽으로 간 철기
- 흑해 북방(기원전 8세기), 중앙아시아를 거쳐 우리나라와 중국(China)으로 전래
4.실크로드와 강철의 흐름
①강철의 원조 : 우즈 강철
- 기원전 350년 경 인도에서 제조
- 아라비아, 시리아, 페르시아, 러시아, 동아시아로까지 수출
②우즈 강철은 시리아의 다마스쿠스로 전파되어 다마스쿠스 강이 됨
- 다마스쿠스 강은 중세를 통해 톨레도 강과 졸링겐 강의 원조가 됨
- 아시아의 도가니 강이 우즈 강철과 다마스쿠스 강의 원조라는 설 …(투비컨티뉴드 )

Download : 중세과학-철.hwp( 98 )





레포트/경영경제





중세과학의 철에 대한 내용 입니다.
- 마야, 잉카, 아스테카 인들도 운철을 이용해 제의용 칼을 만들었다.중세과학의 철에 대한 내용 입니다.
전체 6,675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dump.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