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레포트] 현대인의 소외는 어디서 부터 비롯되는 가,, 프리츠 파페하임 / 프리츠 파페하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0 00:26
본문
Download : 현대인의 소외는 어디서부터 비롯되는가,, 프리츠 파페하임.hwp
현재의 허무주의는 18,19세기의 특징인 인간의 위대성, 진보의 무한한 가능성, 이성의 지배 등에 대한 신념이 쇠퇴한 결과다.
레포트 > 기타
레포트 현대인의 소외는 어디서 부터 비롯되는 가 프리츠 파페하임 / 프리츠 파페하임
순서
프리츠 파페하임 세계 제 2차 대전 이후 비관주의적 분위기가 세계를 지배하게 되었다. 현대인의 소외 원인(原因)을 최근 몇십 년간의 정치적 사건에서 찾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1930년대 이후 유럽의 여러 나라의 정체(政體)에 중대한 변화가 생김으로써 더욱 확신을 갖는 주장이 되었다. 그것은 오히려 정치제도의 속에서 움직이는 사회 경제적 틀에서 발견할 수 있다 이를 두고서는 퇴니스의 견해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는 인류가 게마인샤프트를 떠나 게젤샤...
프리츠 파페하임 세계 제 2차 대전 이후 비관주의적 분위기가 세계를 지배...
프리츠 파페하임 세계 제 2차 대전 이후 비관주의적 분위기가 세계를 지배...
Download : 현대인의 소외는 어디서부터 비롯되는가,, 프리츠 파페하임.hwp( 13 )
설명





[레포트] 현대인의 소외는 어디서 부터 비롯되는 가,, 프리츠 파페하임 / 프리츠 파페하임
다. 인간은 권력의 주체가 아니라 객체일 뿐이며 행사의 대상이라는 것을 알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비관주의적 분위기가 2차 대전의 후유증이나 전쟁이라는 공포에 원인(原因)이 있다고 단정하는 것은 무리다. 그러나 이것만으로 정치가 소외의 원인(原因)이라는 것을 입증할 수는 없다. 오늘날 이러한 허무주의적 분위기는 실존주의자에 의해 되풀이되고 있다 게오르그 짐멜이 설명한 바와 같이 현대인은 자신의 개성이 파괴될 것이라는 공포, 자신이 자아로부터 소외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에 처해 있다는 공포를 지니고 있다 실존주의가 이성의 길을 포기하고 충동과 무분별한 주정주의(主情主義)에 굴복한 것이므로 비판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실존철학이 지니는 강력한 호소력을 무시해서는 안된다 그러나 실존주의의 호소력을 인정한다고 해서 실존주의와 같은 방식으로 소외를 생각한다는 뜻이 아니라 인간의 소외, 고향의 상실을 인간의 영원한 운명이라고 보는 하이데거나 샤르트르의 추종자들과는 달리 소외를 역싸적 관점에서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심지어 2차 대전에 참가하고 있는 병사들이 ‘공이 그렇게 튀었으니까’ 하는 숙명론적인 말로 자신의 전쟁 참가 이유를 설명할 수밖에는 없었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정체의 변화 이후에 비로소 인간생활이 비인격화되고 개인을 단순히 객체로 보게 하는 힘을 인식하기 스타트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