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법 번역식 교수법의 재조명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3 12:14
본문
Download : 자.hwp
특히 1970년대의 Dulay와 Burt (1972) 등은 학습자 문법형태소 습득순서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학습자들의 문법구조 발달이 가르치는 것과는 관계없이 보편적인 습득순을 따른다고 주장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Krashen (1982) 등은 수업을 통하여 배운 문법 지식은 학습자의 내적 언어능력으로 변할 수 없다는 모니터 理論 (The Monitor Theory)을 내세우게 된다. 이러한 alteration(변화) 의 와중에도 우리나라에서는 문법이라는 단어가 과민reaction response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Download : 자.hwp( 64 )
문법무용론 문법번역식교수법 문법무용론 / (문법 무용론)
4. 문법 무용론





5. conclusion(결론)
문법무용론 문법번역식교수법 문법무용론 / (문법 무용론)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3. 문법-번역식 교수법의 평가
문법 번역식 교수법의 재조명
문법무용론 문법번역식교수법 문법무용론
그러나 최근 외국어 교육 논의에서는 다시 외국어교육에서의 문법의 역할이 지나치게 폄하되었다는 지적이 꾸준히 있어 왔으며, 교육 현장에서 역시 문법을 배재한 외국어학습의 부작용이 드러나게 되어, 현재의 논의는 문법적 요소들을 기능-의미 중심의 교과과정(notional-functional syllabus) 속에 어떻게 체계적으로 흡수시킬 것인가의 문제를 중심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편에서는 교실에서 교사가 문법을 언급하는 것이 시대착오적인 행위로 여겨지고, 다른 한편에서는 많은 교사들이 수업에서 문법을 다루지 않을 수 없음을 인정하고 있다. 이러한 학자들의 생각은 그간의 외국어교육에서 실패를 맛본 교사, 학생, 학부모들의 호응을 얻어, 문법을 가르쳐서는 안 된다는 극단적인 입장까지 나오게 되었다.
설명
1. 서론
순서
다.
2. 문법-번역식 교수법의 배경과 실제
더구나 1970년대 이후 언어학 내에서의 언어관의 alteration(변화) 와 외국어습득 분야의 연구 결과들에 의해 형성된 문법의 역할에 대한 부정적 시각은 전통적 문법-번역식 교육에 대한 비판의 理論적 근거를 제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