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돌하루방(하르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1 19:30
본문
Download : 제주도 돌하루방(하르방).hwp
본론에서는 돌하르방의 기능, 건립이유, 시기와 크기, 돌하르방과 관련된해몽등에 관해 설명하겠다.
Download : 제주도 돌하루방(하르방).hwp( 93 )
제주도 돌하루방(하르방)
1. 머릿말
2. 본론
1. 돌하르방의 특징
2. 돌하르방의 기능(돌하르방의 기능은 장승의 기능과 상통)
3. 돌하르방 이름의 기원
4. 돌하르방의 건립이유 및 시기에 대한 여러 학설
5. 돌하르방의 위치
6. 돌하르방에 관한 꿈해몽, 돌하르방(시)
3. 맺은말
석상의 형태는 조금씩 다르지만 큰 눈에 자루병 같은 코를 가졌으며, 입술을 다문 얼굴에 감투를 썼고 두 손을 배에 나라히 모으고 서 있다아 돌하르방의 팔 위치가 서로 다른데 오른손이 위로 향한 것은 문관(선비)을 나타내고 왼손이 위에 있는 것은 무관(무사)를 나타내는 것이다.
제주를 대표하는 상징물인 만큼 돌하르방에 관한 은유적인 시 , 꿈에 대한 해몽등 제주인의 정서에도 많은 influence을 주었다. 문지기 노릇을 한다든가, 수위 방어의 기능을 지닌다든가 무덤앞에 세워진 동자석의 기능과 같다든가 하는 말들을 주민들은 강조하는데, 이는 곧 수호신적 기능으로 요약된다 둘째의 주술종교적 기능은 방사탑의 기능과 같다든가, 축사의 기능…(省略)
제주를 대표하는 상징물인 만큼 돌하르방에 관한 은유적인 시 , 꿈에 대한 해몽등 제주인의 정서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이 석상들은 제주도의 지리적 특수성으로 인하여 육지의 유사한 조형물들과 차이점을 보이는데 건립이유 및 시기에 대하여는 여러 학설들이 있다
레포트/인문사회
본론에서는 돌하르방의 기능, 건립이유, 시기와 크기, 돌하르방과 관련된해몽등에 관해 설명하겠다.이 석상들은 제주도의 지리적 특수성으로 인하여 육지의 유사한 조형물들과 차이점을 보이는데 건립이유 및 시기에 대해서는 여러 학설들이 있다. 제주시에 있는것과 성읍리에 있는 것은 기석을 받쳤고 특히 제주시의 것은 기석 전면에 O 형과 L형의 굴각이 있다아 이 석상은 성문앞에 서서 위업을 보이면서 수호신적, 주술적, 금표적 기능을 한 것으로 추정되어 육지의 장승과 그 기능이 비슷했던 것으로 보인다.제주도돌하르방 , 제주도 돌하루방(하르방)인문사회레포트 ,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_hwp_05.gif)
_hwp_06.gif)
순서
제주도돌하르방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다.
돌하르방이 제주목, 대정현, 정이현의 도읍지 입구에 쌍쌍이 마주하여 서 있음으로써 도읍지 내는 물론이요 관내 주민들의 강녕과 융성을 지켜주며 기원하는 수호신적 기능을 지닌다고 제보자들은 입을 모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