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청전(沈淸傳)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0 06:58
본문
Download : 심청전(沈淸傳).hwp
국외의 설화로는, 불교적 신통력과 효행으로써 아버지의 눈을 뜨게 했다는 인도의 ‘전동자설화(專童子-)’, 악신에게 희생제물로 바쳐진 처녀가 위기를 모면하고 다시 살아나 어머니의 눈을 뜨게 했다는 日本 의 ’소야희설화(小夜姬-)‘ 등도 근원설화로 추정된 적이 있다 이 밖에도 <심청전>과 내용상으로 유사한 설화들은 전세계에 걸쳐 얼마든지 찾아볼 수 있다 이렇게 볼 때 <심청전>은 어떤 특정 설화를 소설화한 작품이라기보다는 세계적으로 유포되어 있는 효행과 희생의 설화유형들을 기본 골격으로 삼아 만들어진 작품임을 알 수 있다
근원설화는 구전전승의 과정을 거치는 사이에 자체의 내용을 변모시키거나 다른 설화유형들을 결합하면서 현존하는 <심청전>과 유사한 골격을 이루었던 것 같다.
심청전(沈淸傳)
심청전(沈淸傳)에 대한 자료입니다.
설명
<심청전>은 조선 후기에 나온 국문소설로서 작자와 저작 시기를 분명히 알 수 없는 작품이다. 흔히 ‘전라도 옥과현 성덕산 관음사 연기설화’로 불리는 ‘홍장설화(洪莊-)’는 그 구조가 <심청전>과 대동소이하다. 이 작품은 <춘향전>, <흥부전> 등과 함께 판소리로 불려지면서 전승되었기 때문에 ‘판소리계 소설’이라고도 불린다. <심청전>은 이와 같은 유동(流動)의…(생략(省略))
,감상서평,레포트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_hwp_05.gif)
_hwp_06.gif)
심청전(沈淸傳)에 대한 data(資料)입니다. <심청전>은 오랜 옛날의 설화를 소재원천으로 삼아 상당 기간의 구전전승의 과정을 거치면서 대체적 줄거리가 만들어진 후에, 조선후기 영,정조때를 전후하여 기록된 소설로 정착된 것으로 추정된다
<심청전>의 형성에 직접 간접의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보이는 ‘근원설화’는 국내외에 걸쳐 광범위하게 발견된다 가난한 딸이 눈먼 어머니를 봉양하기 위해 종으로 몸을 팔았다는 <삼국사기>의 ‘효녀지은설화(-知恩-)’나, 바다에서 희생제물로 던져졌다가 용왕의 딸과 혼인하여 고국으로 돌아왔다는 <삼국유사>의 ‘거타지설화(居陀知-)’ 등 국내의 설화들은 일찍부터 <심청전>과의 부분적 유사성 때문에 근원설화로 추정되어 왔다. 심청전 , 심청전(沈淸傳)감상서평레포트 ,
레포트/감상서평
심청전
Download : 심청전(沈淸傳).hwp( 60 )
순서
다. 이 설화가 생성된 시기는 조선 효종 때로서 <심청전>이 기록된 소설로 정착된 영,정조때와 비슷한 시기에 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