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 전자회로실험] ADC DAC의 종류와 시뮬레이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8 11:30
본문
Download : ADCDAC.doc
하지만 마이크로프로세서 내장 A/D 변환기는 입력 전압 범위가 대부분 0~5V이고 분해능은 12비트 이하가 많다. 이 때 몇 비트의 데이터로 변환하느냐가 분해능(resolution)에 해당하고, 변환을 스타트 시켜 변환 종료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변환 시간이고, 어느 범위의 전압을 입력 하느냐 (입력 전압 영역) 등이 언급될 수 있다
2.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
Download : ADCDAC.doc( 41 )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분해능은 8 / 10 / 12 / 14 / 16 등이 사용되고, 변환 시간은 가급적 빠를수록 좋지만 고가가 되므로 적정한 변환 속도를 가진 A/D 변환기를 사용하면 된다. 최근에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내부에 A/D 변환기를 기본 내장한 경우가 많은데, 경제적으로나 공간적으로 유리하다. 입력 범위가 더 넓어야 하는 경우나 더욱 분해능이 요구되는 시스템은 별도의 A/D를 장착하여 사용하면 된다.
순서
1. ADC ( Analog to Digital Converter)





마지막에는 회로 시뮬레이션 캡쳐도 넣고 시뮬레이션 결과도 넣은 리포트입니다.
[전자, 전자회로실험] ADC DAC의 종류와 시뮬레이션
설명
B.실제 D/A 변환기의 구성
A/D 변환기는 아나로그 신호를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이용대상]
ADC, DAC, AD converter, DA converter, AD변환기, DA변환기, Analog to digital, Digital to analog
ADC와 DAC의 종류에 대해 조사하고 각 종류마다 회로 그림 있습니다. ADC와 DAC의 종류에 대해 조사하고 각 종류마다 회로 그림 있습니다. [이용대상]
A. ADC의 기본 동작
참고 문헌
A.DAC 종류
C.ADC의 변환 원리 이해
A.ADC의 기본 동작
B.ADC의 구분
3.시뮬레이션
1.ADC ( Analog to Digital Converter)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D.ADC의 변환 과정
다. A/D 변환기를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접속하는 방법에 따라 직렬형(Serial)과 병렬형(Parallel)으로 나누어 지는데, 직렬형은 직렬 통신 신호를 사용하여 접속하고, 병렬형은 병렬의 데이터 버스를 사용하여 접속한다. 전압, 전류, 온도, 습도, 유량 등 우리 주위에 있는 연속적인 아날로그 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이를 디지털 신호로 먼저 변환 해야 한다. 마지막에는 회로 시뮬레이션 캡쳐도 넣고 시뮬레이션 결과도 넣은 레포트입니다.